신호위반 실시간 조회 및 과태료 벌점 범칙금 이파인 교통민원24
운전할 때 황색불에 지나갔는데 신호위반 카메라에 찍혔는지 안찍혔는지 모르겠어서 불안하셨나요? 신호위반 여부 체크가 언제부터 가능한지 궁금하셨나요? 그렇다면 잘 찾아오셨습니다. 신호위반 카메라에 찍혔는지 확인 여부와 관련 과태료 정보, 이파인 어플리케이션 사용방법까지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.
신호위반 단속 기준
평소에 운전 하거나 횡단보도 건널 때 도로 바닥에 마치 무엇인가로 패여있는 듯하게 네모 형태의 표시를 본 적 있으신가요? 이 표시가 바로 신호위반을 체크하는 감지 센서가 있는 곳입니다. 일반적으로 신호위반 카메라의 센서는 카메라 앞의 25m 내외 도로에 2~3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.(보통 정지선과 교차로 중앙에 센서를 매설합니다.) 그리고 차량이 이 센서의 위를 지나갈 때 감지가 됩니다. 그리고 신호위반 카메라는 보조카메라도 함께 설치되어 있는데요. 주 카메라는 차량 번호를 식별하고 보조 카메라는 주로 위반 차량을 촬용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.
차량이 사거리나 교차로의 신호가 빨간색으로 바뀐 뒤에 정지선 부근 센서를 밟게 되었을 때 보조 카메라가 센서를 밟은 차량의 움직임을 촬영합니다. 만약에 차량이 정지선 센서를 밟고 신호를 위반해서 지나가면 교차로 중앙센서도 밟게 되겠죠?
그 때 보조카메라가 해당 차량의 위반 모습을 촬영하게되어 신호위반 단속에 걸리게 됩니다.
가끔 꼬리물기 도중 신호에 걸려서 교차로 중앙에 멈추었을 때 신호위반에 걸렸을까봐 걱정한 적 있지 않으신가요?
위의 신호위반 단속 기준 매커니즘에 따르면 이미 신호등이 빨간색으로 바뀌기 전에 교차로에 진입하였기 때문에 보조카메라가 작동하지 않아서 이 경우에는 신호위반 기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. 하지만 해당 교차로 구간이 꼬리물기 단속구간 이거나 한 경우에는 관련 과태료나 범칙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.
꼬리물기로 교차로 진입 후 적색 신호 시에는 신호위반 단속에 걸리지 않음
신호위반 과태료 및 벌점
신호위반에 따른 과태료는 아래와 같습니다.
차량의 승용, 승합, 화물차 여부와 일반도로와 특정 보호구역에 따라서 규정이 다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.
종류 |
일반 |
어린이 · 노인 · 장애인보호구역 | ||||
벌점 | 과태료 | 범칙금 | 벌점 | 과태료 | 범칙금 | |
승합차, 4톤을 초과하는 화물차, 특수차, 건설기계 | 15점 | 8만원 | 7만원 | 30점 | 14만원 | 13만원 |
승용차, 4톤 이하의 화물차 | 15점 | 7만원 | 6만원 | 30점 | 13만원 | 12만원 |
이륜차, 원동기장치자전거 | 15점 | 5만원 | 4만원 | 30점 | 9만원 | 8만원 |
자전거 등 | 3만원 | 6만원 | ||||
보행자 | 3만원 | 3만원 |
신호위반 실시간 조회방법
신호위반 단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경찰청의 교통민원24 홈페이지 또는 이파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또한 이파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도 나의 신호위반 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이파인 신호위반 조회방법
먼저 이파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려면 스마트폰에 이파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합니다.
소지하고 계신 스마트폰에 이파인 교통민원24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했으면 앱을 실행시킵니다.
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화면 중간에 위치한 최근단속내역 아이콘을 선택해주세요.
해당 메뉴는 본인인증이 완료되어야 확인이 가능합니다. 사용하고 있는 간편인증 서비스를 이용해서 본인인증을 완료합니다.
인증을 완료하고 다시 최근단속내역 메뉴를 선택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단속 된 이력이 있다면 조회 가능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